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군민중심 새로운미래 증평

증평군청증평군

군민중심 새로운 미래 증평

증평군민들과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행복최고!안전최고!살기좋은 증평

역사적 인물(시대순)

  • Home
  • 증평소개
  • 증평상징
  • 인물
  • 역사적 인물(시대순)
배극렴 이미지
배극렴(裵克廉:1325∼1392)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조선건국 초대 영의정

인물정보더보기
배극렴 약력 닫기
배극렴 이미지

( 裵克廉 : 1325∼1392 )

고려 말 조선 초기 사람으로 조선왕조를 개창하는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 ( 開國功臣 ) 이다. 자 ( 字 ) 는 양가 ( 量可 ) , 호는 필암 ( 筆菴 ) 또는 화금당 ( 畵錦堂 ) , 본관은 경산 ( 京 山 ) 이며 배현보 ( 裵玄甫 ) 의 아들이다.

공민왕 ( 恭愍王 )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진주 ( 晋州 ) 와 상주 ( 尙州 ) 의 목사 ( 牧使 ) ,계 림 ( 鷄林 ) 과 화령 ( 和寧 ) 의 부윤 ( 府尹 ) , 합포진첨사 ( 合浦鎭僉使 ) 등을 역임했고, 우왕 ( 禑王 ) 2년 ( 1376 ) 에는 경상도 군순문사 ( 慶尙道軍巡問使 ) 로 양백연 ( 梁伯淵 ) ㆍ우인열 ( 禹仁烈 ) 등과 진주에 쳐들어온 왜구 ( 倭寇 ) 를 반성현 ( 班城縣 ) 에서 대파했 으며,

우왕 4년 ( 1378 ) 삼도원수 ( 三道元帥 ) 로 경산부 ( 京山府 ) ) 사근내역 ( 沙斤乃驛 ) 에 서 또다시 왜구를 격파했다. 이후 이성계 ( 李成桂 ) 의 휘하에서 여러 차례 왜구를 토벌하고 우왕 14년 ( 1388 ) 조전원수 ( 助戰元帥 ) 로 위화도 ( 威化島 ) 에서 이성계 등과 회군 ( 回 軍 ) 을 결행하여 권문세족을 추방했다.

이듬해 평리 ( 評理 ) ㆍ양광도 찰리사 ( 楊廣道察理使 ) 등을 역임했으며 공양왕 ( 恭讓王 ) 2년 ( 1390 ) 중군총제 ( 中軍摠制 ) ㆍ판삼사사 ( 判三司事 ) 를 거쳐 수문하시중 ( 守門下侍 中 ) 에 올랐다. 1339년 우시중 ( 右侍中 ) 으로 조준 ( 趙浚 ) 등과 모의하여 공양왕 ( 恭讓 王 ) 을 폐하고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공신 1등이 되고 성산군 ( 星山君 ) 에 봉해졌으며 문 하좌시중 ( 門下左侍中 ) 이 됐다.

관직에서 물러나 괴산군 불정면 어래산 ( 御來山 ) 밑에 살았으며 태조 ( 太祖 ) 가 친히 세차 례나 거동했다 하여 산의 이름을 어래산이라고 했고, 마을 이름은 삼방리 ( 三訪里 ) 가 됐다. 시호 ( 諡號 ) 는 정절 ( 貞節 ) 이다.

묘소는 증평군 증평읍 송산리 ( 송오리 ) 에 있다.

배극렴 묘소(曾坪 裵克廉 墓所)

소재지

증평군 증평읍 송산리 산28-2

규모

3.47m☓4.37m☓1.70m

조성시기

조선시대

지정번호

충청북도 기념물 제98호 (1994. 12. 30 지정)

상세설명

증평읍사무소에서 보강천 증평대교를 건너 송산리 방면으로 2.5㎞ 가량 마을길을 따라 올라가면 우측의 증평종합사회복지관을 지나 두타산 대봉산 아래 송오리 마을 뒤 산 기슭에 있다.

이 묘소는 장방형으로 가로 3.47m 세로 4.37m, 높이 1.70m이고 상석은 가로 1.20m, 세로 0.84m, 높이 0.195m이다. 묘소에는 호석이 둘러있고, 앞에는 장명등과 문관석, 양석, 향로석 등이 있다. 양석 1기는 언제인가 도난을 당해 다시 조성했다. 또 묘소에서 20여m 아래에는 조선 고종 25년(1888년) 당시의 대사헌 박성양이 비문을 지은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배극렴은 경북 성주읍 대황동에서 위위소윤 배현보와 서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해 진주 ․ 상주목사(정3품), 계림 ․ 화령부윤(종2품), 합포진 첨사(종3품) 등을 역임했고, 고려 우왕 2년(1376)과 우왕 4년(1378) 왜구격파에 공을 세웠다. 이성계 휘하에서 여러 차례 왜구를 토벌하고 우왕 14년(1388) 조전원수로 위화도 회군을 결행했다. 이후 1392년 이성계를 추대, 개국 일등공신이 돼 성산부원군에 봉해지고 문하좌시중에 이르렀다.

고려 공민왕 12년(1363), 진주목사로 부임한 이듬해 산에서 잣나무를 북쪽관아에 옮겨 심었다. 그는 문무를 겸비했으며 청렴 검소하고 부지런해 후일에 시중이 됐으므로 진주 사람들이 추앙해 이 나무를 시중백(侍中栢)이라 했다고 한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문화유산팀
연락처 :  
043-835-4132
최종수정일 :
2021-11-04 12:17
상단으로

Copyright(c) 2022 by Jeungpyeong-gun. All rights reserved.